가계와 기업, 정부 부채를 모두 더한 한국의 총부채 규모가 6200조원을 넘어섰다. 국내총생산(GDP)의 2.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20일 국제결제은행(BIS)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9월 말 원화 기준 비금융 부문 신용은 6222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0조 원(4.1%) 증가했다. 전 분기 대비로는 55조 원(0.9%) 늘었다.
비금융 부문 신용은 국가 간 비교를 위해 자금 순환 통계를 바탕으로 주요 경제 주체인 기업과 가계, 정부 부채를 합산한 것이다. 통상 국가총부채 또는 총부채로 지칭한다.
한국의 총부채 규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당시인 2021년 1분기 말 5000조원을 처음 기록했고, 이후로도 계속 늘어 2023년 4분기 말 6000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3분기 말 총부채를 부문별로 보면 기업부채가 2798조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계부채 2283조원, 정부부채 1141조원 순이었다.
이 중 정부부채의 최근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정부부채는 2023년 3분기 말 1020조원에서 지난해 3분기 말 1141조원으로 1년 만에 약 120조원(11.8%) 급증했다. 같은 기간 기업부채는 80조원(2.9%), 가계부채는 46조원(2.1%) 늘었다.
다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다소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해 3분기 말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47.2%로, 2021년 2분기 말(24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 비율은 2023년 2분기 말(252.9%) 정점을 찍고 하락 전환한 뒤 5분기 연속 내림세를 이어왔다.
부문별로는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이 2023년 3분기 말(114.7%) 이후 4분기 연속으로 하락해 지난해 3분기 말 111.1%까지 떨어졌다. 가계부채 비율도 2023년 3분기 말(94.5%)에서 지난해 3분기 말(90.7%)로 4분기째 내렸다. 2020년 1분기 말(90.0%) 이후 최저치다.
정부부채 비율의 하락 추세는 상대적으로 뚜렷하지 않았다. 2022년 4분기 말 41.5%에서 2023년 1분기 말 44.1%로 크게 뛰었고, 지난해 1분기와 2분기 말 각 45.4%, 3분기 말 45.3% 등으로 비슷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