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행사
서울석세스어워드
미스인터콘티넨탈코리아대회
국민행복마라톤대회
K-STAR골프리그
인문고전읽기대회
강연회
보도자료
평생교육원
언론방송경영최고위과정
방송제작과정(연출,CG)
유학센터
캐나다홈스쿨(어학연수)
중국유학
게시판
공지사항
시청자소리
blog
행사
서울석세스어워드
미스인터콘티넨탈코리아대회
국민행복마라톤대회
K-STAR골프리그
인문고전읽기대회
강연회
보도자료
평생교육원
언론방송경영최고위과정
방송제작과정(연출,CG)
유학센터
캐나다홈스쿨(어학연수)
중국유학
게시판
공지사항
시청자소리
blog
서울STV에서 주최하는 행사를 안내해드립니다.
>
국립민속박물관, 관서병마절도사 이종승의 '만인산' 첫 공개
관리자
2025-09-08 16:28:30
첨부파일
(
0
)
관서병마절도사 이종승의 만인산, 보존처리 후 첫 공개.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보존처리를 마친 ‘조선시대 관서병마절도사 이종승(1828~?)의 ‘만인산’(1887년 제작)’을 경기도 파주시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관의 열린보존과학실에서 최초로 공개했다.
이번 ‘만인산: 보존과 해체의 기록’ 특별전은 파주관 열린보존과학실에서 마련하는 네 번째 교체 전시로,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만인산 가운데 ‘관서병마절도사 이종승의 만인산’과 ‘희천군수 김영철의 만인산’(1887년 제작) 등 2점을 함께 선보인다.
김홍도의 풍속화 '취중송사' 속 일산
만인산은 조선 후기 수령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비단으로 만든 일산(日傘, 햇빛을 가리기 위해 세우는 큰 양산)의 일종으로, 헌정 받는 사람의 직함과 이를 바치는 사람들의 이름이 수 놓여 있다.
참여한 사람들의 수나 고을의 규모에 따라 '천인산(千人傘)' 또는 '만인산(萬人傘)'이라 하였는데, 만인산이라는 이름이 일반적이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1976년 신영균(申永均, 1833~1922) 소장 천인산을 사면서 만인산 수집을 시작했다.
이후 상설전시를 염두에 두고 만인산 수집에 노력을 기울였고, 그 결과 기증과 공개 구입 등으로 현재 모두 5점의 만인산을 소장하고 있으며, 제작 시기는 주로 1873년에서 1887년 사이다.
만인산은 직물, 목재, 금속 등의 복합 재질로 구성돼 있어 단일 재질 유물에 비해 보존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전문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특히 직물의 손상이 심해서 보존에 짧게는 1년, 길게는 여러 해가 걸리기도 한다.
국립민속박물관은 2006년 상설전시관의 전시를 위한 보존처리를 시작으로 2024년이 되어 비로소 5점의 보존처리를 모두 완료했다.
이와 같은 보존처리 과정에서의 연구 성과는 2024년 발간한 유물보존총서Ⅹ ‘수령의 선정을 기리는 선물: 만인산’에 모두 담겼으며, 이번 전시에서 그 성과를 토대로 보존을 마친 이종승의 만인산을 관람객에게 처음 공개하게 됐다.
이종승 만인산(민속79836)
이종승 만인산의 경우 덮개와 휘장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송덕문에 총 1526명의 이름이 오색실로 수 놓아져 있다.
본체의 가운데에는 이종승의 직함과 이름, 다음으로 이종승의 선정 내용 및 그를 송축하는 글을 수놓았다. 그 아래로 여덟 개의 각 면에 4단으로 만인산을 바치는 사람의 직명과 이름이 수놓아져 있다.
휘장은 2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짧은 휘장에는 2줄, 긴 휘장에는 3줄로 사람들의 이름을 수 놓았다.
희천군수 김영철의 만인산
또 함께 공개한 희천군수 김영철의 만인산은 덮개와 휘장, 꼭지, 자루, 살대, 유소 등 전형적인 구성을 모두 갖췄으며, 살대에 금박 문양을 찍은 것이 특징이다.
이번 전시의 특징은 만인산을 조립한 형태가 아닌, 보존처리를 위해 해체한 상태 그대로 공개한다는 점이다.
덮개와 휘장, 꼭지, 자루, 살대 등 각 구성품을 분리해 전시함으로써 관람객이 각 구성품의 조형적 특성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했다.
만인산의 덮개와 휘장 등 직물 재질 자료는 안전한 보존 환경을 위해 3개월 주기로 교체하며, 전시 관람은 내년 8월 23일까지 가능하다.
목록
이전글
[퓨처플랫폼] 삼성물산 \'넥스트 리모델링\' 공...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